관리회계의 역할 글로벌 인사이트-보더리스 경쟁이 벌어지고 있어 관리회계 담당자에게도 국제적 감각이 요구된다. 글로벌 시장에서의 기회 활용을 위해서는 글로벌 정치와 경제에 대한 꾸준한 관심과 정보를 바탕으로 올바른 의사결정을 지원해야 한다.
>
가치사슬의 컨셉트-기업의 각 기능을 가치사슬의 관점에서 연결할 수 있어야 한다. 기능·전문성을 중시하는 효율성 향상은 기업 전체의 성과 향상에 장애가 될 수 있다.그래서 부문의 효율화보다는 전체 목표 달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보를 측정해 제공해야 한다. 경영진이 생산과 판매를 통합하려면 이를 지원하는 정보를 제공하고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
성공요인 관리-원가측정이나 원가절감에만 집착해서는 안 된다. 기업의 성공은 비용 절감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품질 향상, 대응 시간의 단축, 고객 서비스의 향상 등에도 좌우된다.
>
환경변화에 대한 대응-환경변화에 맞춰 진부한 과거의 관행에서 과감히 벗어나야 한다. 급격한 환경변화 이전에 설계한 원가회계시스템에서 산출되는 원가정보는 왜곡된 것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환경변화에 따라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
관리회계의 한계관리회계모델 부재 – 제조기술이나 조직에서의 혁신적인 변화는 외부적으로 나타나지만 원가회계나 통제시스템은 잘 나타나지 않는다. 또 교과서나 논문에서는 대부분 단순하고 정태적인 관리회계 모형을 설정해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실제로 기업에서 적용할 수 있는 대안으로는 부적절하다.
>
회계시스템 전산화 – IT는 회계분야에서 큰 변화를 가져왔지만 주로 재무거래를 중심으로 시스템화가 이뤄졌기 때문에 관리회계에 적용하기가 어렵다. 관리회계에 전산시스템을 활용하려면 회계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수정해야 하는데 이는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든다.
>
재무회계식 사고 – 공정운영이나 영업에 지식이나 경험이 없는 관리회계 담당자의 주된 관심사는 객관적이고 일관성 있는 방법으로 거래를 기록하고 간접비를 배포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 경영에서는 객관성은 떨어져도 시기적절한 정보 제공이 더 필요한 경우가 많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