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한국의 지적재산(IP) 금융시장 규모가 1조 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허청에 따르면 올해 신규 공급 기준으로 지재권을 담보로 실시하는 IP담보대출액 4,331억 원, 지재권을 기반으로 보증서를 발행하는 IP보증액 7,240억 원, 우수지재권을 보유한 기업 또는 지재권에 직접 투자하는 IP투자액이 1,933억 원에 달해 총 IP금융시장이 1조 3,504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IP금융 규모는 최근 몇 년간 점진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었으나 2018년 7,632억 원에 이어 2019년에는 전년 대비 5,872억 원(77%) 증가하는 큰 성장을 이뤘습니다.
>
이는 정부의 혁신금융 기조와 기업경영에 있어 지식재산에 대한 기업 및 금융권의 인식이 높아진 결과로 풀이됩니다.
특히 IP담보대출의 경우 전년 대비 4.9배 증가해 총 4,331억 원(2018년 884억 원)에 달했고, 은행별로는 하나은행 1,230억 원, 신한은행 880억 원, 국민은행 692억 원 순으로 대출해 IP투자에서는 흥국증권이 동영상 특허기술을 기반으로 113억 원의 투자금을 유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또 IP금융의 양적 성장뿐 아니라 우수한 투자 사례도 다수 도출되는 등 질적으로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아이디벤처스(IDV) 등은 A기관이 보유한 통신표준특허(LTE, 3G)에 2017년 말 투자하여 소송 및 라이선스 협상으로 1년 8개월 만에 수익이 발생하여 투자금의 3배를 회수한 경험이 있으며, 벤처기업 셰르파스페이스는 식물용 맞춤형 광원기술(식물성장 단계별로 필요한 빛을 최적의 파장과 강도로 제공하는 장치)에 대한 특허로 투자를 유치하고 제품개발에 매진한 결과 2020년 미국 Consericron에서 혁신상을 수상하였습니다.